창녕군지명사/남지읍

지명유래 / 남지읍 마산리

남전 南田 2012. 5. 13. 14:13

 

경남 창녕군 남지읍 마산리의 지명유래를 올립니다.

 

남지읍 마산리 전경

 

 

2. 마산리(馬山里)

 

 

남지리의 북쪽에 있는 마산리(馬山里)는 남지읍의 전신인 남곡면과 도사면이 합하여진 도사면 일때 면사무소가 있었던 마을이다. 마산이란 마을 명에 정자「亭」을 붙여 마산정으로 불리어 오던 곳이다. 『호구총수』에는 산정촌(山亭村)으로 기록되어 있음을 보아 ‘산마을’이 본래 지명임이 분명한데 구한말에 이르러 산정보다 좋은 뜻의 마산(馬山)으로 고친 것이다.

 

마산은 곧 ‘마리뫼’로 머리뫼, 두산(頭山)을 뜻한다. 첫 글자 ‘마’는 마파람(남쪽에서 불어오는 바람)의 마와 같이 ‘남(南)’을 뜻하며, 「山」은 마을, 고을을 지칭한다. 부산, 마산 할 때의 「山」과 같은 뜻이라 하겠다. 따라서 「山」은 고을이나 마을의 받침격인 성질을 가진 것으로서 「山」자 그 자체로는 산을 가리키는 것이지만 다른 뜻을 내재(內在)한 것으로는 보이지 않는다. 그러므로 ‘마산’은 남쪽, 앞쪽, 머리쪽 마을이라고 하겠다.

마리뫼는 산 아래에 사는 사람들이 조석으로 바라보며, 태양이 뜨면 제일 먼저 첫 햇살이 비쳐지는 산을 말한다. ‘마리’는 곧 「말」형의 지명으로 말[馬]로 훈차된 것이다. 「말」은 음차로 「勿, 末, 物, 沕」등이 있으며 훈차로는 「馬, 頭, 斗, 乾, 偶, 宗, 首····」등등 많이 사용되었다.

안재홍은 『조선상고사감』에서 “「馬韓」을 마루한, 마리한 또는 말한으로써의 이두로 된 바이니 즉 종국(宗國) 종주국(宗主國) 또 결재국의 뜻이다.” 라고 하였다. 그리고 「馬」는 방위상 남쪽을 뜻하니 남쪽의 산, 고을이란 뜻이 되기도 한다.

 

옛 도사면의 진산이나 주룡산(主龍山)이 마을 뒤 도초산이 있으니 그와 연유되어 마리뫼란 지명으로 불리어 진 것로도 생각된다. 흔히 뒷산이 말처럼 생겼다 함도 마리뫼, 머리뫼의 어원을 모르기 때문에 생긴 부회(附會)라 하겠다.

행정 리는 마산, 홍포, 당포 등 3개 리이다.

 

마산정 마을 전경

 

 

◉ 2-1 마산(馬山)

 

 

마산리의 중심 마을로 행정리 지명으로 쓰인다. 당초 『호구총수』의 기록된 것은 산정이었는데 후에 마산정이라 불리었다. 자연 마을이 마산정을 비롯하여 가말, 새터, 삼거리, 아래골, 똥매(구포) 등 자연 마을이 여러 개 작은 야산을 의지하고 흩어져 있다.

진양 강씨가 처음 살았다 하며, 그후 영산 신씨와 광산 김씨가 살게 되었다 한다.

 

 

◎ 마산정(馬山亭)

북쪽의 산이 말의 형상이라 하여 말산이라 불리었으며, 이 산의 아래 마을이고 정자가 있는 마을이라 마산정이라 하였다 한다. 이 얘기는 머리뫼, 마리뫼의 뜻을 몰라 부회한 것이다. 또 어떤 이는 뒷산 중턱 정자 앞에 구리로 만든 말 두필이 있었다 하여 「馬山」이라 불리게 되었는데 그 말 형상은 잃어버렸다고도 한다.(말 형상은 흔히 서낭나무, 신에게 바쳐 지기(地氣)를 제압한다.) 모두 후대에 지어낸 얘기이다.

마산정의 정(亭)은 곧 높은 산의 고어 수리(술·述), 뫼 등 산(山)과 같아 「山, 峰, 岳, 嶺」외에 「嶽 · 車 · 亭」등도 사용되었다. 뫼, 수리의 음훈차로 「蘇 · 近 · 述 · 戍 · 酒 · 驚 · 所」등도 쓰이기도 했다. 창녕읍의 초입 마을을 오리정이라 하였던 것에 비추어보면 ‘정(亭)’은 정자나무이기보다 ‘마을’을 지칭하고 있는 것이다.

마을 서편에 도산서원이 있었다는 터가 남아 있다.

 

 

◎ 가말[石洞]

마산 마을의 서쪽에 있는 뜸으로 가말, 감말 등으로 불리는데 마산의 머리 부분에 해당하므로 가마(加馬)라 하였다 하기도 하고 이곳이 갈마음수지형(渴馬飮水之形)이므로 갈마 - 가마 - 감말 등으로 변하였다 하기도 한다. 그러나 아마 큰 마을의 변두리에 있는 ‘바깥 가’의 마을이므로 가마을 이라 불린 것이 가말 - 감말이 되었을 것이다.

이곳의 골짜기를 가말골이라 하고 이곳에 있는 절이 도덕암인데 100여년 된 암자로 가말절이라 속칭한다. 한자로 「石洞」으로 기사한 것은 최근의 일이다.

 

 

◎ 새터[新基]

마산정 북쪽에 있는 마을로 마산정 마을보다는 뒤에 새로 된 마을이라하여 새터, 신기로 불린다. 마을 앞에 늪이 있으며 앞의 내가 예전에 낙동강의 샛강이라 한다.

200여년 전에 칠원 윤씨와 순흥 안씨가 먼저 정착하였다 한다.

 

 

◎ 삼거리

남지 동포동에서 북쪽으로 1043지방도가 지나가는 곳으로 농로와 삼거리를 이루므로 이 일대를 삼거리라 한다. 북쪽으로는 신전, 성사, 월령으로 가고, 남쪽으로는 남지로 가며, 서남쪽으로는 외구포와 홍포로 가는 길목이어서 예전에는 주막과 인가 몇 집이 있었는데 1970년대에 새마을 사업을 하며 농촌취락개선 사업의 일환으로 주택을 신축하여 새마을이 되었다.

 

 

◎ 아래골[下大浦]

삼거리 아래이며, 마산정 아래에 있는 마을이라 아래골이라 불린다. 지도상에 나온 지명으로는 구포를 가리킨다.

 

 

◎ 구포(龜浦)

삼거리의 서쪽 새터의 동편에 있는 마을로 들 가운데 독산이 있어 이를 똥메라 부르기도 하는데 그 모습이 마치 거북이가 엉금엉금 기어가는 형상이라 하여 마을 이름은 구포라 부른다. 뜸이 2개로 바깥과 안쪽을 구분하여 부른다.

구포 뜸 중 바깥쪽에 있는 뜸을 바깥들에[外龜浦], 외구포라 부르고 안쪽에 있는 뜸을 안뜰에[內龜浦] - 내구포라 부른다.

 

 

◆ 용소골[龍沼谷]

마산 마을 북쪽 신기동과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지금은 인가가 없으나 옛 마을 터이다. 쟁피눞에 딸린 소가 있어 거기에서 용이 등천하였다 하여 용소골이라 불린다. 전에 벽진 이씨, 진양 강씨 두 집이 살았으나 마산 본동으로 이사를 했다 한다.

 

 

◆ 똥매[獨山]

삼거리 서편 들 복판에 외따로 솟아있는 작은 야산이다. 산자락에 동향으로 집들이 들어서 있다. 산 뒤로는 학계리에서 흘러 내려오는 샛강이 있으며 주위는 들판이 펼쳐져 있다.

 

 

◆ 도산서원(道山書院) 터

마산 마을 서쪽의 터로 전에 도산서원이 있었다 하는 곳이다. 이 서원은 철종 기미년(1859년)에 세워진 것으로 배향인물은 이곳에 살았던 선비 신몽삼(辛夢參)이었다.

(신몽삼 : 숙종때의 학자로 호는 一庵, 찰방, 세마 등에 천거되었으나 사양, 마산에 은거하며 후학 양성)

이 서원은 고종 때 대원군의 서원 철폐령에 의해 문을 닫았다. 서당이 되고는 신용식이라는 이가 글을 가르쳤다 한다.

『축산군지 』의 기록은 다음과 같다.

 

 

道山書院 在治西三十里馬山亭哲廟己未建 一庵辛夢參享焉 . 戊辰撤

 

 

◆ 서낭당

마산정 마을의 북쪽 산 정상에 있는 서낭당으로 음력 정월 보름날에 당제를 지낸다. 정자나무 큰 것이 있다.

 

◆ 쟁피늪

새터 남쪽에 있는 늪으로 쟁피는 흔히 늪가나 논에 자생하는 갱피를 이곳에서는 쟁피라 하는데 쟁피가 많이 자라는 늪이라 뜻이다. 이 늪에 딸린 깊은 소(沼)가 있어 용이 등천하였다 하여 인근 골짜기를 용소골이라 한다.

 

 

◆ 남지하천(南旨河川) 제방(堤防)

마산리의 동편 계성천변에 쌓아져 있는 제방으로 남지들을 보호하기 위한 것이다. 삼거리 북쪽에서 남송교 다리까지 이어져 있다. 흔히 남지둘이라 불린다.

 

홍포동 마을 전경

 

 

 

 

◉ 2-2 홍포동(鴻浦洞)

 

 

마산정 앞의 마을로 들 가운데에 형성된 들 마을로 예전에는 기러기가 많이 날아오던 갯벌이었으므로 홍포라 불리었다 한다. 1929년대에 홍포라는 동명을 사용하게 되었는데 그 후에 기러기 날아가는 모양과 같이 마을의 형태가 조우동형(鳥羽同形)이어서인지 지금까지 쌍둥이가 7쌍이나 태어났다고 한다.

홍포의 「鴻」은 큰 기러기의 뜻이 있으나 그 훈이 크고(洪大), 넓은 것도 되니 아마 홍포를 「큰개 - 大浦, 넓개 - 넙개 - 廣浦」라 불리었으리라 생각된다. 이 일대의 들이 넓을 뿐만 아니라 낙동강의 지류가 용산에서 이 일과 마산정 앞으로도 흘렀으므로 넓은 개(浦)와 들을 이루고 있었으므로 ‘넙개’로 불릴 수 있었을 것으로 보인다.

이제 마을이 되니 큰 터전(洪基)이 되었다. 마을 한가운데 큰 정자나무가 있다.

1929년 경에는 가구수가 25호였으나 해방될 때는 110호가량 되었고, 지금은 119호이다. 광산 김씨가 처음 살았다 하며, 그 후 안동 권씨가 왔다고 한다.

 

 

◆ 동사앞(洞舍앞)

홍포동 동사무소가 있는 일대로 바로 옆에 있는데 마을의 중심부이다.

 

 

 

◆ 장터걸

홍포동에서 서남쪽 방향으로 지금 남지여중 뒷편, 홍정 마을의 일대 들을 장터걸이라하는데, 예전에는 강변으로 도흥나루로 통하는 나루터였으므로 장이 섰다고 한다. 장이 섰던 때는 오래전 일로 5, 60년전에도 전답이 있는 들판으로 장터걸 밭이라고 불리었다 한다.

최근 여기서부터 동쪽으로 동포동까지 토지구획정리사업이 되어 상가와 아파트들이 들어섰다.

 

당포 마을 전경. 마을 앞의 들이 당포수리이다.

 

 

◉ 2-3 당포(唐浦)

 

 

당포는 마산리의 북부로 방추산을 의지하고 동남향으로 자리잡은 마을인데 마을앞의 들이 넓으나 저습지와 굼논이 많이 있다. 땅이 굼턱지고(땅이 움푹 깊이 파인 곳은 이곳말로 굼티기, 굼턱지다 라도 함) 뻘이 많은 곳이므로 땅굼이라 한 것이 땅꿈, 땅꼼으로 변하였다. 동쪽 영산구역에도 저습지와 땅이 질고 굼턱져서 땅꿈이라 불리는 곳이 있으니 이곳은 남지 땅꿈이라 하고 저쪽은 영산면의 땅이라하여 영산 땅꿈이라 한다, 「唐浦」는 땅꿈의 음훈차이다.

그런데 ‘당(唐)’에 얽매여 마을 앞에 당(堂)이 있었다던가, 당나라 이여송이 지나갔다던가 하는 설이 있는데 모두 와전일 뿐이다. 마을 앞 수무눞에 물이 많아 동갯들에 농사지으러 나갈 때는 동네 사람들이 쪽배를 타고 다녔다 한다.

 

 

◎ 아래골

당포 마을 남쪽 뜸으로 마을의 아래쪽에 해당하므로 아래골이라 한다.

 

 

◎ 웃골

당포 마을 북쪽의 뜸으로 마을 위쪽에 해당하므로 웃골이라 한다. 그 위쪽을 강땅곰등대라 하는데 예전에 인가가 거기에 있었다 한다.

 

 

◆ 성밖에

당포 마을 오른쪽인데 마산수리가 되기 전 늪이어서 수무눞이라 불릴 때 그곳에 주막집이 한 집 있었다고 한다. 물이 들어오지 못하게 높게 성처럼 흙을 돋우고 지었기 때문에 이곳을 성밖에라 하였다.

 

 

◆ 방추산

당포 서쪽에 있는 산으로 도초산의 동쪽 줄기이다. 높이는 120m이다. 땅골산[唐谷山]이라고도 하는데 땅골은 땅꼼의 변화인데 땅꿈산이 땅골산으로 변한 것으로 보인다. 북쪽의 봉우리는 높이 100m이다.

 

 

◆ 가마골

당포와 삼거리 사이에 있는 야산으로 기민개 위에 있으며 높이는 65m이다.

 

◆ 기민개만댕- 당포와 삼거리 사이에 있는 야산으로 높이는 65m이다. 이때「개」는 고개의 축약(縮約)이다.

 

 

◆ 적산줄기(赤山嶝)

당포 뒤 신전리와 사이에 있는 도초산 산줄기로 당나라의 (실은 명나라) 이여송이가 이곳을 지나다가 당포 뒷산 줄기가 장군이 나올 서기가 뻗친 명당임을 알아내고 군사들을 시켜 산을 자르게 하였는데 과연 자르고 보니 그곳에서 피가 흘러 산을 붉게 물들였다 한다. 적산은 곧 ‘赤山’(붉은등)이란 뜻이다.

 

 

◆ 야시골[狐谷]

당포 마을 서북쪽 골짜기로 여우가 많이 살았고 여우굴이 있어서 야시골이라 불리었다.

 

 

◆ 수무눞

당포 마을 앞에 있었던 늪으로 수문(水門)이 있거나 그와 관계된 늪이 아니라 계성천 물이 항상 넘나들므로 비가 잦으면 늪이 되었다가 날이 가물어 계성천 물이 빠지면 늪 모양이 없어지곤(숨고) 하므로 늪 모양이 숨어 있는 늪이라 하여 숨은눞, 수무눞, 수문눞 등으로 불리게 된 것이다. 이 늪은 마산수리 개간으로 사라졌다.

 

 

 

◆ 마산수리(馬山水利)

당포 마을 앞의 들을 당포수리, 마산수리라 부른다. 왜정 때 일인이 개간하여 경작하였던 개인 농장이기도 하였다. 개간 전에는 계성천 물이 드나들었던 늪지였다. 지금은 경지정리가 완료된 수리 안전답으로 당포 마을의 농장이다. 이 들이 굼졌기 때문에 근처 마을의 이름이 땅꿈이라 불리게 된 것이다.

당포앞 들. 멀리 보이는 마을은 상대포이다.

 

 

◆ 마산수리 제방(堤防)

마산수리를 보호하기 위해 축조한 제방으로 당포 앞 상대포 아래쪽에서 남쪽으로 똥메 북쪽까지 쌓았다. 흔히 당포둘이라 부른다.

 

 

<다음은 남지읍 학계리 지명유래가 계속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