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남전과 함께
창녕군지명사/남지읍

지명유래 / 창녕군 남지읍 월하리

by 남전 南田 2012. 5. 13.

 

 

 경남 창녕군 남지읍 월하리 지명유래를 올립니다.

 

어느 곳보다 오랜 지명으로 역사서에 나오는 박지곡진(박진나루).

지금은 월하교가 놓이면서 나루터는 흔적도 없이 사라졌다.

 

14. 월하리(月下里)

 

 

월하리(月下里)는 남지읍 북단의 북서부에 있는데 본래 창녕현 남곡면의 월곡촌(月谷村)으로 『호구총수』에 기록되어 있다.

고지명(古地名)으로는 박지곡진(朴只谷津)이 있는데 『대동지지』「진도」(津渡) 란에,

 

朴只谷津 一云朴津西十里宜寧

 

『창녕현읍지』에도 박지곡진이 나오는데 『대동지지』와는 달리 「在縣南五十里宜寧界洛江」이라 하여 이 나루가 창녕현에서 남쪽으로 오십 리 떨어진 곳에 있다 하였다. 정확한 기록은 『창녕현읍지』의 것이다.『대동여지도』상의 표시는 어느 정도 일치한다.

박지곡진의 「朴」은 밝다는 「」의 차자이다. 또 「只」(지)는 산의 차자이니 곧 「밝산」이란 뜻이 되며, 이 나루터는 태양을 섬겼던 사람들이 살았던 터전으로 볼 수 있다.

 

 

월하리의 옛 이름이 월곡촌이라 하였든데 월곡(月谷)은 달골이니「月」과「達」은 서로 그 훈과 음이 같으므로 호전하는 관계에 있다.

「달」은 두 가지 뜻으로 옛 지명에 사용되어 왔다.

하나는 산의 고훈으로 「달」(達)로 쓰여 「支·者·只·月·伊·義·白····」등등으로 차자되었으며, 또 전(轉)하여 들(野)의 뜻으로 쓰였다. 그러므로 ‘월곡’은「산골」이란 뜻도 되고 「들골」로도 볼 수 있다.

월하리는 낙동강을 끼고 있어 대체적으로 넓은 들이 있는 지대이며 산이 있다하여도 동편에 그리 높이 있거나 깊은 골짜기도 없다. 강의 연안으로 산지는 좁고 낮으니 월곡을 산골로 보기보다는 들골로 보아야 될 듯하다. 또 들골이라 보아야 될 이유는 월하리의 한 마을인 월평의 우리말 이름이 ‘들부리’인 것이다. 들부리는 곧 들불이니 들마을을 뜻하고 있기 때문이다.

「月」은 그 훈이 「달」이니 들을 뜻한다 하겠다. 들은「伐」과 같이 평야, 취락, 성읍(城邑)을 의미하는데 그 발음이 변화하여 「들」에서 「돌, 드라, 드래, 다라, 달내, 드르」등으로 여러 말이 있으며, 그 차자(借字)로도 돌(突), 달(達), 돌(梁), 돌(珍), 달(月), 달라(月良), 들(等), 드라(等良), 도리(都里), 다라(多羅)····· 등등으로 쓰였는데 들을 나타내었다.

그런데 월곡촌이 월하리로 된 것은 강의 흐름과 관계가 크다 한다.

낙동강이 예전에 월평 마을 서쪽 끝에서 남으로 그 흐름을 바꾸어 산 쪽으로 바짝 붙어 흘렀다 하는데 따라 옛날 낙동강의 강폭이 서쪽 의령쪽 산과 이쪽 월하리의 범골산 사이로 볼 수 있으며, 이때 강의 주류가 동편에 있다가 서서히 퇴적토가 쌓임에 따라 서편 의령 쪽으로 나가면서 중간지구는 높아져서 들이 되고 이쪽은 저지대가 되었다 한다. 강의 흐름이 변함에 따라 옛 수로는 지류의 역할을 하게 되었는데 남쪽(월상 쪽)의 하상(河床)이 높아 물이 거꾸로 남쪽에서 북쪽으로 흐르게 되니 지금의 월하 마을은 강의 하류, 아래 마을이 되니 월골이 아래라 하여 「下」로 되어 월하(月下)로 쓰게 된 것이라 한다.

그러나 월하의 '하'가 아래 '下'가 아니라 물, 강 하(河)의 변화가 일 수도 있는데 '月河' 곧 '달물'이니 산옆 강이거나 들쪽 강마을이란 뜻으로 불리었던 것으로 볼 수도 있다.

박진 나루와 대곡을 연결한 월하리 일대는 6·25전쟁 때 격전지였으므로 전승비가 월상 마을 앞산에 서 있다.

행정 리로는 월상, 월하, 월평 등 3개리가 있으며, 월상국민학교가 있었는데 학생수의 감소로 인하여 반포국교 월상분교로 되었다가 지금은 이 분교조차 폐교되었고 지금은 박진전쟁기념관으로 바뀌었다.

 

월상 마을 전경

 

 

◉ 14-1 월상(月上)

 

월하리 3개 행정 리 중 가장 남쪽에 있는 마을로 범골이 중심이다. 분교로 된 월상국민학교가 있었던 마을이다.

월상(月上)이라 하게 된 것은 예전에 낙동강의 흐름으로는 월하리의 하류이나 옛 강의 지류이었던 마을 앞의 지류가 퇴적토로 인하여 하상이 높아져 월상 앞 하늘늪에서 월평 쪽 북쪽으로 역수하고 있었으므로 동리가 자리 잡은 곳으로 보면 이쪽은 생강의 상류가 되므로 월골의 위라 하여 월상이라 한 것이다. 지금은 그런 흔적이 없어지고 들판이 되었다.

51호가 사는데, 곡부 공씨, 나주 정씨(丁氏)의 세거지로 월산재(月山齋: 曲阜공씨 書塾), 백림재(栢林齋 ; 孔瑞昌 제각). 인양재(寅陽齋: 孔福錫 제각), 모운재(慕雲齋 : 나주정씨 봉선소)등이 있다.

 

◎ 범골[虎谷 · 月上]

마을 뒷산이 범이 웅크리고 앉아 있는 형상과 같이 생겼다 하여 범골, 호곡(虎谷)이라 하였다. 지금은 월상이란 행정 리 명으로 많이 부른다. 마을 앞으로 포장도로가 새로 생기고 박진 나루터에 다리가 걸려 의령을 다니기에 편리해 졌다.

동리 입구에 둘레 두 아름되는 큰 괴목나무 정자가 있다.

 

◎ 박진(朴津) 나리가

박진 나루터가 있는 곳으로 강을 건너 의령군 부림면 박진으로 통하는데 나루터를 오가는 행인들을 위한 주막이 선창가에 여러 집 있다. 강 양편을 다 박진이라 불리었는데 이를 구분키 위해 남지읍 쪽의 박진을 좌두(左頭)박진이라 하고 의령군 쪽 박진을 우두(右頭)박진이라 했다.

박진은 곧 「밝나리」, 박지곡진은 「밝뫼골 나루」로 읽을 수 있으니 태양을 섬겼던 고대인이 강을 따라 와서 살게 되었던 터전이라 할 수 있을 것이다.

『대동지지』,『창녕현읍지』등에 박지곡진(朴只谷津)으로 기록되어 있는 오랜 나루터로 신라 때 이래 경주 - 창녕에서 의령, 진주 등지로 통하였던 주요한 나루였다. 임진왜란 때 곽재우 의병군이 이 나루를 방어하여 왜군 병선이 지나가지 못하도록 말뚝을 박아 지켰다 한다.

 

 

이 일대는 솔밭이었는데 을축년(1925년) 홍수 때 강물에 쓸려 내려가 솔밭이 없어 졌다고 한다. 또 이 나루에는 하류에서 올라오는 소금배가 정박하였던 곳이며, 그에 따라 사람들이 많이 끓었고, 강 건너 의령 땅에는 옹기굴이 있어 옹기의 생산과 거래도 활발하였다고 한다.

6.25때 격전지로 나루터 맞은편 꽃밭등에 전승비가 서 있다.

1008번 영산-의령간의 지방도가 지나가고 있으나 교량 건설이 되지 않아 둘러 다니는 불편을 겪고 있었는데 1999년 박진교가 세워졌다.

이 나루터에 5일장이 섰는데 장 이름은 월상장이었다.

* 지금은?-- 이 박진나루터는 1990년대에 낙동강연안개발사업 추진과 박진교 건설로 강가 마을은 전부 철거되었고 제방이 축조됨에 따라 나루터의 흔적은 완전히 사라져 버렸다.

 

◆ 월상장터

월상장은 박진나리 가에 있는데 1965년 9월에 허가를 받았는데 3일, 8일에 장이 섰다.

버스 교통이 원활하여지고 화물차를 이용한 상업이 발달하여 지는 세태에 밀려 최근 월상장은 한산하여져 버렸다.

 

◆ 범골산[虎谷山]

월상 마을 동북쪽에 있는 산으로 범이 웅크리고 있는 형국이라 하여 산 아래 골짜기를 범골이라 하고 따라서 범골산이라 한다. 명장 이여송이 임진왜란 때 이곳을 지나다가 이 산의 지세가 장군이 날 명당이라 하여 혈맥을 끊었다 한다.

 

◆ 굴덤

호곡산에 있는데 호랑이가 살았던 굴이 있는 곳이라 하여 굴덤이라 부른다.

 

◆ 뒷덤만당

월상 마을 북쪽 뒤에 있는 산이므로 뒤덤만당이라 한다. 이 뒷덤만댕이에는 측량 깃점이 되는 표석이 있다.

 

◆ 헌서낭댕이

월상 마을 동남편의 산으로 예전에 서낭당이 있었던 곳이라 헌서당댕이라 부른다.

 

◆ 대곡고개

헌서낭댕이 남쪽의 고개로 월상에서 대곡으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낙동강이 범람하여 월상 앞들이 침수되어 길이 막히면 이 고개를 지나 대춘이고개를 경유 고곡으로 다녔다. 대곡쪽에서는 범골고개라고도 하였다.

 

◆ 꽃밭등

월상 남쪽 앞에 있는 산으로 산 정상에 6·25전쟁 전승비(戰勝碑)가 서 있다. 봄이면 참꽃(진달래)이 많이 피는 산이므로 꽃밭등이라 불리었다. 꽃띠만댕이하고도 부른다.

 

◆ 박봉만댕이

꽃밭등의 아래 등성이로 예전에 머슴들이 봄이면 농사를 시작하기 전 봄에 「꽃맥이」라 하여 사흘을 놀았으며, 가을에 세벌 논매기를 끝내고 난 7월 중순에 「쇠묵구지」라 하여 5일을 놀았는데, 그 때 이곳에서 주인집에서 내어주는 술과 음식으로 괭이말도 타고 농악을 치며 놀았던 장소였다. 수개리에도 이런 놀이가 있었다고 한다.

 

◆ 불미골[冶谷]

월상에 있는 골짜기로 불미는 바람을 일으키는 풍구를 말한다.

 

◆ 앞들

월하 월상 마을 앞에 있는 들이라 앞들이라 부른다.

 

◆ 하늘늪

범골 앞늪이라고도 하는데 월상·월하 사이에 있는 늪으로 강물이 홍수로 불어나면 강으로 변하는 지대로 평시에는 이 앞늪의 물이 이곳에서 남쪽으로 강에 흘러들지 않고 북쪽으로 역수하여 흘러 무실꾼 근처에서 낙동강에 유입되었다 한다. 지금은 도로가 생겨 땅이 많이 매립되고 물은 남쪽으로 빠져 역류하지 않으나 그 흔적이 남아 있다.

 

월하 마을 전경

 

 

◉ 14-2 월하(月下)

 

월하리 본동으로 3개 행정 리 중 가운데 있는 마을로 월골[月谷]이라 불리었던 것이 1910년 행정 구역 개편 때 월하로 개칭되었다.

월곡촌을 월하라 하게 된 것은 낙동강의 지류이었던 동리 앞의 tot강이 하상이 높아짐에 따라 남쪽 월상 쪽의 물이 북으로 역수함에 따라 낙동강의 흐름으로 보아서는 상류이지만 동리의 샛강의 흐름으로 보면 하류가 되므로 범골은 ‘월상’ 월골은 ‘월하(月下)’가 되었다고 한다.

31호가 사는데 전에는 41호였으며, 김녕 김씨의 세거지로 월곡재(月谷齋 : 김녕김씨 강학소)가 있다.

 

◎ 월골[月谷 : 月下]

낙동강이 유어면 진창리에서 서쪽으로 머리를 들었다가 다시 남쪽으로 흐름을 바꾸는 곳에 있는 마을로 강가의 들 마을이라하여 들골이라 한 것이다. 이때 들골의 「들」이 「들·드리·다라·달·달내·드르····」등으로 변함에 따라 그 차자로 달 월(月)이 쓰였고, 「골」은 「곡(谷)」이지만 골짜기의 뜻보다는 고을, 마을의 뜻이다.

월하로 1910년대에 개칭되었다.

 

◆ 둑자골[獨作谷)

월하 마을 근처로 옛날 절이 있었다 하는데 지금도 절터가 남아 있다. 사람이 농사를 지으며 홀로 살았다 하여 독작골(獨作-) , 독자(獨者)골이라 한 것이 둑자골로 변했다. 지금도 한 집이 있다.

 

◆ 늪부치골

월하 마을과 둑자골 사이에 있는 골짜기로 절이 있었던 것에 연유하여 늪부치골이라 한다.

 

◆ 월곡 뒷산[後山)

월하 마을 동편에 있는 산인데 마을의 뒤가 되므로 뒷산이라 한다. 높이는 216.5m이다.

 

◆ 뱀산

월하 마을에서 월평으로 가는 남쪽 산으로 월하소류지가 있고 월평에서 대곡으로 넘어가는 고개가 있다.

 

◆ 사전(蛇田)

월하마을 앞의 들로 굿배암이 울었다 하여 이곳을 사전이라 한다. 이 쪽 산을 지도상에 뱀산이라 표시하고 있다.

 

◆ 새랑(射-)

사령(沙靈)으로도 쓰는데 도랑을 새(세)랑이라 이곳에서 말함에 따라 작은 시냇가 주변 들을 가리킨다. 월상 쪽에 있다.

 

◆ 무실꾼

월하 서북쪽에 있는 들을 무실꿈이라 하는데, 지대가 낮고 굼턱진 곳을 ‘굼, 꿈’이라 하는데 이것이 ‘꾼’으로 변하고, 무실은 「물실」로 물이 실린 굼이란 뜻이다.

 

◆ 여울목

월하 쪽 늪부치골 앞들을 여울목이라 한다.

 

◆ 월하제

월하-월상간 들을 보호하기 위하여 낙동강을 따라 1999년경 축조된 제방이다. 3.3이다. 제방 바깥에 있던 박진나루터의 인가는 철거되었다.

 

 

◆ 월하소류지(月下小留池)

월하 마을 동북쪽에 있는 못으로 무실꾼 옆이므로 무실꾼못이라고 부르기도 한다.

 

월평 마을 전경. 왼편에 낙동강을 건너는 들붓나리가 있다.

 

 

◉ 14-3 월평(月坪)

 

월하리의 북동쪽 마을인데 남지읍의 최북단 가장 먼 곳에 있는 행정 리이다. 월평은 들부리라 불리었던 마을의 기사(記寫)로 들마을이란 뜻이다. 어느 가문의 족보에는 월현촌(月峴村)으로 기록하고 있다. 13호가 살고 있다.

동·서·남쪽이 산으로 둘러싸여 막혀있고 북쪽은 낙동강과 마주하여 틔여있다. 지금은 월하 마을 앞까지 도로가 확장 포장되었고, 남쪽 고곡으로, 동쪽 시남으로 임도가 개설되어 있어 교통이 편리해 졌다.

 

◎ 들부리[月坪]

들부, 들붓, 들불 등으로도 불리는데 모두 들부리의 변화이다. 낙동강 남안(南岸)에 있는 마을로 강변 조금은 넓은 들에 취락이 생겼는데 남쪽은 산이 앞을 가리고 있다.

들의 고어(古語)는 「」이니 이것이 들, 달, 달내···· 등등으로 변하면서 달 월(月)로 훈차(訓借)되었으며, ‘부리’는 「불, 벌」 등으로 옛 지명에 많이 쓰였던 벌(伐), 불(不)이니 곧 들, 원야(原野)를 말함이니 「佛·弗·伐·火·····」 등등 차자가 있으나 들 평(坪)을 취하였다.

들부리는 바로 들마을 , 들성읍이라 하겠다.

 

◆ 들붓나리

월평 마을 앞에 있는 나루로 강을 건너면 의령군 낙서면 정곡리이다.

 

◆ 월평골

마을이 있는 골짜기를 말하는데 골짜기가 세 갈레가 있어 북쪽에 낙동강과 맞닿아 트여 있고 남쪽은 꽃등만댕이 서쪽은 뱀산, 동쪽은 동봉으로 둘러 싸여있다.

 

◆ 들불고개

월평 들부리 남쪽 꽃등만댕이에 있는데 고개를 넘으면 고곡리 용수골로 긴 골짜기를 따라 하산하면 고곡리 밤밭골에 이른다. 최근에 임도가 개설되었다.

 

 

◆ 비리

동쪽으로 시남 이이목으로 통하는 강변 벼랑길인데 최근에 임도가 개설되었다.

 

◆ 도론골[棹論谷]

월평에서 월하 마을로 돌아가는 모퉁이 길이므로 도론골이라 한다. 「棹論谷」은 도론골의 음차일 뿐이다.

 

 

◆ 들부들[月坪]

월평마을 일대의 들부리의 들이므로 들부들이라 불린다.

 

 

 

*** 남지읍 지명유래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