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남전과 함께

창녕군지명사62

지명유래 / 남지읍 학계리 경남 창녕군 남지읍 학계리 지명유래를 올립니다. 옛 도사면 시절 진산(鎭山)으로 꼽혔던 도초산(홍정마을 에서 바라봄) 3. 학계리(鶴桂里) 학계리(鶴桂里)는 남지읍의 남부로 낙동강 북쪽, 남지리의 서편 지역인데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명지로 도초산이 마을 뒤에 있고 앞은 강을 따라 .. 2012. 5. 13.
지명유래 / 남지읍 마산리 경남 창녕군 남지읍 마산리의 지명유래를 올립니다. 남지읍 마산리 전경 2. 마산리(馬山里) 남지리의 북쪽에 있는 마산리(馬山里)는 남지읍의 전신인 남곡면과 도사면이 합하여진 도사면 일때 면사무소가 있었던 마을이다. 마산이란 마을 명에 정자「亭」을 붙여 마산정으로 불리어 오던.. 2012. 5. 13.
[스크랩] 창녕군 관광안내도 쓰일 때가 있어 를 찾으려니 이곳저곳 기웃거려야 될 때가 많아마침 가 입수되어 올려 놓습니다.조금 자세하지는 않지만 그런대로 참고가 될 자료입니다.   출처 : 비화가야 사람들글쓴이 : 남전南田 원글보기메모 : 2012. 5. 13.
[스크랩] 창녕군 지명사 //제1장(계속3)/ 二. 향토의 지명 -5, 6 창녕군 지명사 //제1장(계속3)/ 二. 향토의 지명 5. 조어와 유연성 6. 굴어 온 돌과 박힌 돌   ````` 2꼭지를 올립니다.     5. 造語와 有緣性     6. 굴러 온 돌과 박힌 돌출처 : 비화가야 사람들글쓴이 : 남전南田 원글보기메모 : 2012. 5. 13.
[스크랩] 창녕군 지명사 //제1장 지명과 향토사 (계속 2) 『창녕군  지명사』 제1장 지명과 향토사  二. 향토의 지명  -- 1. 지명과 옛말,   2. 합쳐서 된 지명  -- 등은 앞에 올려 놓았으며   이번에는 그 다음 내용으로 계속하여       ' 3. 골골이 명산,'  ' 4. 지명의 보수성' 등    두 꼭지를 스캔하여 올립니다.        3. 골골이 명산   4. 지명의 보수성   창녕군 지명사  출처 : 비화가야 사람들글쓴이 : 남전南田 원글보기메모 : 2012. 5. 13.
[스크랩] 창녕군지명사 / 제1장 지명과 향토사 비화가야의 원류, 낙동강과 남강 합류지점인 기음강(공사를 위해 임시교량이 놓였다. 아래(p5) 대동여지도에 보면 기강(岐江)이란 옛 지명이 보인다. ) 『창녕군 지명사』내용 중 '군, 읍,면 지명유래'에 대한 기술에 앞서 개설적인 부분인 를 스캔하여 올립니다.이 자료는 창녕의 지명 유래를 연구하는 이를 위하여 제공하는 것으로 혹시 이 내용을 인용하거나 사용할 때는 꼭 자료 인용 출처를 밝혀주시기 바랍니다. (올리는 내용과 목차)제1장 지명과 향토사一. 序說 -- 생략(앞에 우포님이 올려 놓았습니다.)二. 향토의 지명1. 지명과 옛말(古語)2. 합쳐서 된 지명(地名) 1. 지명과 옛말(古語)           2. 합쳐서 된 지명(地名)      출처 : 비화가야 사람들글쓴이 : 남전南田 원글보기메모 : 2012. 5. 13.