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남전과 함께
창녕군지명사/남지읍

지명유래 / 남지읍 신전리

by 남전 南田 2012. 5. 13.

 

 

경남 창녕군 남지읍 신전리 지명 유래를 올립니다.

 

신전 마을이 있는 신전 계곡의 입구- 마을이 보인다.

 

 

5. 신전리(新田里)

 

 

남지읍의 남중부지역에 있는 신전리(新田里)는 높은 산으로 둘러싸인 길고 깊은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을 중심으로 하여 남지읍의 남북을 한가운데서 갈라 관통하여 동서가 신전리 1개로 통하는 허리부분을 이루고 있다. 동으로는 영남들과 계성천, 서쪽으로는 높은 산을 넘어 낙동강에 이르니 동서의 길이가 5km이다. 동쪽은 트여 영남들 넓은 들판과 연결되어 있어 숨통을 열게 한다.

 

『호구총수』에 이곳은 도사면 차의동(車衣洞)으로 기록되어 있다. 차의동은 수레실, 수리실의 훈차(訓借)로 수레실, 수리실의「수리」는 높은 산악을 말하는 고어 「술」(述)이다. 수리는「실」「수」「수리」「솔」등으로 변하기도 하였는데 그 뜻은 높은 산, 산악으로 「山, 峰, 岳, 嶺」이다. 이것의 음훈차로 「蘇 · 近 · 述 · 戍 · 酒 · 驚 · 所」등도 쓰이고 「嶽 · 車 · 亭」등도 사용되었다.

어원을 잘 모르니 수리실이 수레실로 와전되면서 산세와 지형이 수레처럼 생겨 수레실이라 불리었다는 유래도 생겨났고, 한자의 기사를 수레 차(車)를 써 차의동(車衣洞) 또는 수레 륜(輪)을 써 륜동(輪洞)으로 하였는데 신전(新田)으로 바뀌게 된 것은 송사(訟事) 때문이었다 한다.

옛날 이 마을 서재골에 살던 사람과 솥고개[鼎谷]에 살던 사람 사이에 땅의 소유 때문에 다툼으로 송사가 일어났다. 결국 시비를 가리기 위해 원님의 재판을 받게 되었는데 사는 곳이 다 같이 수레실이면서 고소장에는 한 사람은 「車衣洞」이라 썼고, 한 사람은 「輪洞」으로 썼다. 이것을 본 원님이,

"아니, 한 마을에 살면서 동리 이름을 각각 다르게 썼으니 어느 것이 맞느냐?"

하고 의문을 제기하자 자연히 동명에 대한 논란이 일어나게 되었다. 그래서 새로 동명을 지어 혼란을 없게 해야겠다고 결심한 원님은,

"그곳에 밭이 많고 새롭게 동명을 지으니 새 신(新), 밭 전(田)을 붙여 신전이라 하라." 하였다. 그 이후부터 신전이라 불리게 되었다고 한다.

신전은 「새 밭」이라 읽을 수 있으나 「田」은 어미로 붙어 마을을 뜻한다고 하겠다. 이 동명이 사용된 것은 구한 말로 추정되지만 그때도 여전히 차의동으로 기록되었고 그 이후인 1914년 행정구역 개편 때 신전리로 나타나있다.

행정 리로 신전, 상대포, 영아지 등 3개 리이다.

 

신전 마을 전경

 

 

◉ 5-1 신전(新田)

 

 

동쪽 계성천에서 서쪽 골짜기로 한참 들어가야 있는 마을이다. 신전리의 본동으로 신전리 동사의 중간 지점에 있는 행정 리 명칭으로 수레실이라 불리었던 마을이다. 수레실은 수리실로 산악의 우리 국어가「수리」인데 수레 차(車), 또는 수레 륜(輪)을 훈차로 써 차의동, 륜동이라 하였다. 수리실은 높은 산골 마을, 산마을이란 뜻이다.

전에는 128호로 큰 마을이었는데 지금은 97호이며, 창원 황씨, 동래 정씨의 세거지로 김해 김씨, 광주 안씨, 합천 이씨 등도 살고 있다. 초산정(草山亭 :동래정씨 봉선소), 유경재(維敬齋)를 개칭한 덕양재(德陽齋 : 창원황씨 제각), 재남정(載南亭 : 동래 鄭龍王 祭閣), 추모재(追慕齋 : 김해 金井起 祭閣) 등이 있다.

 

 

◎ 웃물

신전 마을 중 위쪽 동리를 웃물이라 부른다. 계곡의 물이 흐르는데 상류에 해당되므로 웃물이라 불리었다. 그러나 웃물의 ‘물’은 마을의 고어 ‘’로 흔히 「勿, 物, 沕」등으로 쓰였으니 계곡의 물이 아니라 마을의 고어 ‘물’로 보면 된다.

 

 

◎ 아랫물

신전 마을 중 아래쪽 동리를 아랫물이라 부른다.

 

 

◎ 안골

아랫물 쪽 동북 도사골 아래 안쪽에 있는 뜸이므로 안골이라 불린다.

 

 

◎ 서재골

신전 마을 바로 뒤편으로 전에 서재가 있었던 골짜기 뜸이므로 서재골이라 불린다.

 

 

◎ 솥고개[鼎谷]

신전 마을 남쪽 골짜기로 용산리 알개실로 가는 고갯길이 있다. 전에 인가가 있었으나 지금은 없다. 이 골짜기의 모양이 솥처럼 생겼으므로 솥골, 솥고개라 불리었다.

 

 

◆ 도초산(道草山)

신전 남동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60m이다. 학계리와 경계가 된다.

 

 

◆ 알개실산

신전 마을 남쪽 용산리 알개실과의 사이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36m이다. 이 산에 알개실로 가는 고개가 있다.

 

 

◆ 우실봉(牛膝峰)

신전리 북쪽에 있는 산으로 성사리와 경계를 이루는 높은 산으로 높이는 209m로 인근 산중 가장 높다. 우실등이라고도 한다. 이 일대의 산은 소의 형상이라 하는데 이 산의 정상은 소의 무릎에 해당된다 하여 우슬봉이라 하였다.

 

 

◆ 신전 앞산

신전 마을의 앞, 동쪽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130.4m이다. 성사리 매전 마을과 경계이다.

 

 

◆ 신전 뒷산

신전 마을의 뒤에 있는 산으로 마을의 북쪽에 있는데 우실봉의 남쪽 줄기이다.

 

 

◆ 질매산

신전 앞산의 동편에 있는 산으로 높이는 65m이다. 매전 남쪽에 있는데 산의 모양이 길마처럼 생겼으므로 길마산이라 한 것이다. 길마가 질매로 변하니 ‘질매’는 길마의 이곳 토박이 말이다.

 

 

◆ 가물고개[開物谷]

신전 마을 남쪽에서 학계리 덕동으로 통하는 고개이며 골짜기는 가물곡이라 부른다.

 

 

◆ 떡고개[德峴]

덕곡이라 부르기도 하는데 남쪽 흥정의 큰골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곡’은 고개의 줄임말로 큰고개와 작은고개가 있다. 이 고개 동남편에 신전공동산이 있다.

 

 

◆ 신전의 여러 골짜기들

*도사곡(道沙谷)- 도사는 옛 남지면의 이름이었는데 신전 뒷산 동편 아래의 골짜기이다. 북쪽으로 성사리 관동 서재골로 가는데 고개 마루에 서낭당이 있어 행인들이 던지고 복을 비는 돌무지가 있었다.

*우물골[井谷] - 웃묵골이라고도 하는데, 우물이 있었던 골짜기라 우물골이라 부른다.

*대끄리[竹街] - 대나무 밭이 있는 거리를 대끄리라 부른다.

*개장골[加壯谷] - 대끄리와 도사골 사이의 골짜기다. 우선 장사를 지내를 것을 가장(假葬)이라 하니 아마 그것을 미화하여 변한 듯 하다.

*솥골[鼎谷] - 골짜기의 모양이 솥처럼 생겼으므로 솥골, 솥고개라 불리었다.

*세창골 - 신전마을 남쪽 도초산 바로 아래 솥고개와 배미골 사이의 골짜기이다.

*배미골[排舞谷] - 남쪽 세창골과 가물곡 사이의 골짜기로 논배미가 촘촘히 있어 배미골이라 불린다.

신전뒷고개 - 마을 뒤에서 아지리 아지못으로 넘어가는 우실등에 있는 고개이다. 신전마을 뒤편이어서 신전뒤고개라 불린다. 지금은 고갯길 흔적만이 남아있다.

가물곡[開物谷] - 남쪽 배미골 옆 골짜기이다. 학계리 덕동으로 통하는 고갯길로 도초산 중허리에 있다.

*성지곡(聖芝谷) - 솥고개와 하늘 사이의 골짜기로 마을 남서쪽에 있다. 광해조 때의 중이며 풍수지리의 대가였던 성지도사가 명당을 찾아 다녀간 곳이라 하여 성지골이라 불린다.

*감나무등[枾木嶝] - 감낭등이라고도 부르는데, 예전에 감나무가 있었던 산등성이다. 서재골 동편 뒷산의 줄기이다.

*불미골 - 마을 서남 안쪽 골짜기인데 성지골의 옆으로 개뚜골 사이에 있다. 불미는 대장간에서 사용하던 바람을 일으키는 기구인 풍구로 이곳 지방말이다.

*하늘[大要] - 신전 마을 서남쪽 성지골과 불미골 사이의 골짜기이다. 큰 날이란 뜻으로 날은 날카롭다, 칼날의 날로 지역의 끝 또는 변두리의 가느다란 곳을 말한다.

*개뚜골[卦峴谷] - 신전골의 제일 안쪽 골짜기로 신전 마을 서쪽이다. 여기를 넘으면 영아지 마을과 낙동강에 닿는다. 개뚜는 머리에 쓰는 두건을 말하는데 골짜기가 그처럼 생겼다고 한다.

*허리골[屹巨谷] - 신전 마을 가장 안쪽 서편의 골짜기이므로 허리골이라 한다. 큰 등이 동편에 있다. 사람의 허리와 같이 생겼다고 한다.

 

 

◆ 앞벌

마을 앞 동편에서 장시늪[長成浦] 사이의 들을 말한다. 전에는 저습지가 많았으나 지금은 논으로 개간되었다.

 

상대포 마을 전경(마산수리 들판에서 바라봄)

 

 

◉ 5-2 상대포(上大浦)

 

 

신전리의 동쪽 계성천 냇가에 있는 마을로 이 일대가 계성천의 흐름으로 인하여 넓은 갯벌을 이루고 있으므로 한개, 대포(大浦)로 불리는데 그 중 마을 위치가 한개의 위쪽이므로 웃한개, 한자로는 상대포(上大浦)로 기사되었다. 행정리 지명으로 쓰인다.

처음에 7호가 살았는데 많이 살 때는 55호였으며 지금은 30호가 살고 있다.

 

 

◎ 아래 한개 [下大浦]

상대포 본동의 아래편 남쪽 뜸을 말하는데 계성천의 아래쪽(하류)이기 때문이다. 이 근처를 아래한개라 부르는데 수리안 들이나 월령리로 나는 한개다리 길목으로 주막거리였다. 다리 건너에 상대포양수장이 있다.

 

 

◎ 구장이[龜場]

상대포 본동의 북쪽에 있는 뜸으로 신전 마을로 가는 골짜기 입구에 계성천 옆 독산에 의지하여 있다. 이 산이 마치 거북과 같이 생겼다 하여 뜸의 이름을 구장이, 구제, 구성(龜城) 등으로 불리었는데 구장이나 구제의 「제」는 산이나 고개의 옛말 「재」가 변한 것으로 보인다.

이 뜸은 5, 6호가 되었으나 점점 인가가 줄다가 1043번 지방도 확포장 공사로 인하여 철거되어 이제는 한집도 없이 폐동되고 지금은 공장이 들어섰다.

도로변에 연안 차씨의 절부비가 서 있고, 조선시대 건설된 다리로 남지에서 가장 오래된 구포교(仇浦橋)가 북쪽에 있었다.

 

 

◆ 비석걸

구장이 남쪽 길거리로 1043번 지방도 동쪽편 산협에 비석이 서 있는 곳이라 비석걸로 불린다. 이 비는 진양하씨 열행비(烈行碑)로 연안 차씨문중 효열정문의 비각 안에 있었는데 비각은 없어지고 지금은 비만 서 있다.

 

 

 

영남수리 황금들판

 

◆ 한개 [大浦]

신전리 구역으로 계성천의 물로 인하여 커다란 늪과 저습지가 되어 물이 항시 들었다 나갔다 하는 저습지여서 한개라 불리었다. 1930년대에 개간되어 영남수리들이 되었다.

 

 

◆ 영남수리(靈南水利) 양수장(揚水場)

상대포의 동쪽 계성천을 건너 영남들 수리 제방 너머에 있는 양수장으로 영남들에 용수를 공급하는 1930년대에 설치된 양수장이다. 당시 영남지방에서 제일 큰 규모이고 최신식 시설의 거대한 양수 시설이라 소문이 나 구경을 하러 오는 이가 많았다.

 

 

 

◆ 영남제방(靈南堤防)

영남들을 감싸고 있는 제방으로 북쪽은 장마면에 이어지고 남동쪽으로는 도천면에 이어 진다. 초지(잔디밭)이 넓어 소 먹이기에 좋아 인근 마을의 목장이 되었고 부근 학교 학생들의 소풍 장소로 널리 애용되었다.

 

 

◆ 한개 다리[喜樂僑, 상대포교]

상대포 마을에서 계성천을 건너 월령이나 수리제방으로 건너가는 다리를 통칭 한개다리라 부른다. 이 근처에 행인을 위한 주막이 있어 예전부터 한개다리걸이 소문났다. 영산면 월령리로 가는 다리이므로 월령교라 부르기도 한다. 지금은 다리가 새로 가설되면서 그 이름이 상대포교로 바뀌었다.

 

 

◆ 구현산(龜峴山)

상대포 마을 북쪽에 있는 야산으로 모양이 거북처럼 생겼으므로 구재라 불리었다. 북단에 구장이(구재) 마을이 있었다.

 

 

◆ 구장이들

구재 마을 서편, 장시늪 일대에 있는 들을 말하는데 마산당포수리 안으로 들어갔다. 바로 신전마을 입구에 있는 들이다.

 

◆ 장시늪[長成浦]

흔히 신전늪이라 부르는데 구제 북쪽 계성천 서쪽에 있는 늪이다. 신전리와 성사리 양쪽 골짜기에서 흘러내리는 물이 일단 이곳에 모여 계성천으로 흘러든다. 낚시터로 소문났다. 지금은 배수장을 설치하여 안물을 퍼낸다.

 

영아지 마을 전경

 

 

 

 

◉ 5-3 영아지(靈阿支)

 

 

신전리의 서부 지역으로 낙동강의 동안(東岸) 골짜기에 있는 마을의 행정리 명칭이다.

이 마을을 영산 아까리라 불러왔다. 곧 영산현의 아까리란 뜻으로 영산현의「靈」을 붙여 영아지가 되었는데, 바로 북쪽 마을인 창녕 아까리, 창아지(昌阿支)와 구분하여 쓰인다.

동쪽으로 신전 마을로 가자면 산을 넘어가야 하므로 왕래가 어렵고, 예전에는 남지장에 가려면 남쪽 개비리를 거쳐 용산으로 가든지 아니면 배를 타고 낙동강을 이용하여 다녔다.

전에는 40여호이었으나 지금은 30여호가 살며, 아호재(阿湖齋 : 창원황씨 제각)가 있다.

1690년대에 영산 신씨가 시거하였을 때는 40여호가 되었으며, 그 후 이사를 가서 2, 3호만이 남았다가 그 후 창원 황씨가 살기 시작하여 30여호가 되었다 한다.

 

 

◆ 개비리

영아지 마을 서편 강가 절벽으로 창아지에서 용산에 이르는 길이 낙동강과 벼랑을 따라 있어 이 벼랑, 절벽 길을 개비리라 부른다.

개나 다닐 수 있는 험한 길이라 하여 개비리라고 불리었다고 하나 사실은 개비리의 ‘개’는 갯가, 물가, 강가를 뜻하는 ‘개 포[浦]’이며, 「비리」는 절벽, 벼랑의 이곳 지방말이다. 곧 강가에 있는 벼랑이라는 뜻이다.

 

 

◆ 영아지 앞산

영아지 마을 앞(동남쪽)에 있는 산으로 신전 쪽에서는 제일 소류지 뒤의 산이다. 높이는 165m로 우실등의 서편 봉우리이다.

 

 

◆ 영산골 창녕골

영아지 마을 뒤 동편 골짜기로 양쪽으로 나누어 영산현 쪽의 골짜기는 영산골이라 하고 그 북쪽 창녕현 쪽의 골짜기는 창녕골이라 한다. 낙동강에서 안쪽까지 약 1km가 넘는다.

 

 

◆ 영아지고개

마을에서 서쪽으로 아지리 남쪽의 절골로 넘어가는 고개를 아지에서는 영아지고개라 부른다.

 

 

◆ 창아지고개

영아지 북쪽으로 아리지 창아지 음촌 마을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 다음은 남지읍 성사리 지명을 올립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