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 남전과 함께
창녕군지명사/남지읍

지명유래 / 남지읍 학계리

by 남전 南田 2012. 5. 13.

 

경남 창녕군 남지읍 학계리 지명유래를 올립니다.

 

 

옛 도사면 시절 진산(鎭山)으로 꼽혔던 도초산(홍정마을 에서 바라봄)

 

 

3. 학계리(鶴桂里)

 

 

 

학계리(鶴桂里)는 남지읍의 남부로 낙동강 북쪽, 남지리의 서편 지역인데 배산임수(背山臨水)의 명지로 도초산이 마을 뒤에 있고 앞은 강을 따라 사질양토의 넓은 들판이 펼쳐져 있어 일찍부터 소채 시설재배가 발달한 곳이다.

예전에 강물이 지금의 낙동강 본류와는 달리 용산리 창날과 알개실 앞에서 시작하여 북쪽 용암산 쪽으로 붙어 강물이 흘렀다 한다. 세월이 흐르니 300여년 전부터 점차 본류는 남쪽 용화산쪽으로 붙어 흐르게 되고 예전에 강물이 흘렀던 곳은 지류가 되었다고 한다.

 

이것은 샛강으로 그 흔적이 남아 있으니 곧 창날-알개실-용산- 옥산으로 이어지는 지대는 다른 곳보다 낮다. 강이 토사의 퇴적으로 하상(河狀)이 세월 따라 점점 높아짐에 따라 강이 남쪽으로 옮겨 갔을 가능성이 높다. 지금도 강물이 흐르고 강바닥에 토사가 퇴적된 흔적으로 들판 어디를 파도 모래만 나온다.

마을 앞은 강물이 흘러가는 들판이니 또한 새가 많이 날아들었을 것이다. 그래서 두루미, 학이 많이 날아들어서 ‘학계’라 하였다고 하는데 『호구총수』에는 이곳 촌명을 도사면 「조곡리」(鳥谷里)라 기록되어 있음을 보아 새와 인연이 있었던 곳으로 보이기도 하지만 사실은 그렇지 않다. 조곡리는 「새골」「새실」이라 읽으니 지형에서 온 땅이름이다.

곧 학계리의 본동이라 할 장실[長谷] 마을은 곧 ‘긴 골짜기’이며 긴 골짜기 새(사이의 준말)에 있는 마을, 골짜기를 지칭하는 ‘새골’ ‘새실’을 한자로는 ‘조곡(鳥谷)’으로 기사한 것이라고 하겠다. 다른 곳 지명을 살펴보면 대체로 깊은 골짜기 사이의 마을을「새골」「새실」이라 부르고 그곳을 「新」「鳳」「草」 등을 써「新村」「鳳谷」「草谷」「新田」이라 하였으니「鳥谷」또한 그와 크게 다르지 않다. 따라서 마을 이름을 새 조(鳥)자를 썼지만 ‘골짜기와 골짜기 사이’를 말하는 ‘새’[間]를 기사한 것이다.

조곡리가 조선조 말에 이르러 학계리로 변경되었는데 조곡리를 기품 있는 동명으로 개칭한 것이다.

곧 앞 글자 ‘새 조(鳥)’자는 너무 직설적이므로 같은 부류의 새이면서 좋은 느낌의 새인 ‘새 학(鶴)’으로 미화하였고, 뒷글자 ‘골 곡(谷)’은 산의 고어 「달, 」이 ‘달 월(月)’로 되고 ‘달’이 ‘月, 桂’ 등으로 표기함에 ‘골 곡’은 그 뜻이 통용되는 계수나무 계(桂)자로 변용하여 아화(雅化)하여 학계리로 한 것으로 보인다. 계(桂)는 월계수, 달(月)의 이명(異名)으로 흔히 사용되었다. 흔히 긴 골짜기 안에 있는 산골마을에 계(桂)가 붙으니 계성면의 계성(桂城), 고암면의 계팔(桂八) 등등이 그 본보기이다. 계성은 광계리에서 옥천리까지 아주 긴 골짜기에 있으며, 계팔은 감리에서 중대리까지의 긴 골짜기에 있는 마을이다.

또 한 가지 가능성은 학계 본동 장실 서쪽 마을 옥산의 예전 동명이 주월리(周月里)였으니 조곡리의 앞 자인 조(鳥)와 주월리의 뒷 글자인 월(月)을 조합(調合)하여 변형 기사(記寫)된 지명으로도 보인다.

학계리에는 도사면의 진산격이라 할 도초산이 있는데 이 산 이름에서 도사면(道沙面)이란 면명이 나왔을 것이다.

학계리의 행정 리는 학계, 홍정, 명지, 옥산 등 4개 리이다.

 

학계(장실) 마을 전경. 뒤에 보이는 산이 도초산이다.

 

 

◉ 3-1 학계(鶴桂)

 

 

학계리의 중심되는 마을로 학계리의 북동쪽 골짜기 안에 있는 마을인 장실의 행정리 명칭이다. 사람들이「핵기」라 부르는데 학이 사는 터[鶴基]라는 뜻의 말이라고 하기도 한다. 하지만 ‘학계’의 와음(訛音)일 따름이다.

『호구총수』에 나오는 옛 지명은 조곡촌(鳥谷村)이니 글자 그 뜻대로 풀면 새 조, 골 곡, 곧 ‘새골’이니, 새실이라 불리었다고 본다. 산골짜기 사이의 마을이란 뜻이다. 또 장실을 길게 발음하여 ‘자안실’로 ‘長谷’이라 할 것을 뜻이 좋은 자은동(自隱洞)으로 쓰기도 하였다.

 

 

◎ 장실(長室)

마을이 있는 골짜기가 길고 크므로 장실이라 하였다. 마을 앞에 늪이 있어 이를 장실늪이라 하는데 장실을 잔실, 잔안실 등으로 발음하는 사람도 있다. ‘실’은 마을의 고훈이다.

마을 뒤에 있는 산이 도사면의 진산 격인 도초산(道草山)이다. 동편땀과 서편땀 등 두 뜸이 있다.

 

 

◆ 장골[長谷]

장실 마을 안에 골짜기가 길므로 장골이라 한다. 일설에 골짜기 안에 굴이 있어 장굴, 장골 등으로 불린다. 이곳에 팔계 정씨 10여호가 살았다 하며, 그 흔적으로 샘터와 대밭이 있다. 예전에 서당이 있었는데 정귀철이란 이가 훈장이었다 한다.

 

 

◆ 도초산(道草山)

도치산이라 불리기도 하는데, 학계리 북쪽에 있으며 신전리와 경계를 이루고 있는 산으로 도사면의 대표적인 산으로 『대동여지도』에 표시되어 있다. 높이는 172m로 인근에서는 가장 높은 산이다.

옛날 천지개벽 때 영산 함박산은 함배기만치 남고 도초산은 도치(도끼의 이곳 토박이 말) 만큼만 남아 도치산이라 하였다는 말이 전해온다.

 

 

◆ 꽃밭등[花田山]

마을 앞에 있는 산으로 꽃이 많이 피므로 곷밭등이라 한다. 그 외 소지명으로 반월산(半月山), 영호(影湖), 개물산(開勿山) 등이 있다.

 

 

◆ 장실늪

장실 마을 앞의 늪으로 예전에 강물이 넘나들었던 흔적이라 하겠다.

 

 

 

마을 앞에 비닐하우스가 가득한 홍정마을

 

 

 

◉ 3-2 홍정(鴻汀)

 

 

학계리의 동쪽 마을로 모래 또는 웃모래, 웃갱변, 잿골이라 불리었던 들마을과 골짝 마을 큰골 등 두 마을의 행정리 명칭으로 학계에서 분동되었다.

홍정은 홍포와 마찬가지로「鴻」은 큰 기러기 홍이기도 하나 넓을 「洪」이기고 하며 「汀」은 물가의 평지를 뜻하는 물가[水邊] 정이니 넓은 물가, 큰 개[浦]라는 뜻이다.

그러나 흔히 기러기가 많이 날아드는 곳이어서 홍정이라 하였다고 하는데 ‘웃모래’, (웃갱변‘이라 불리던 마을이름을 좋은 뜻으로 새로 지은 것이다.

예전에 이곳은 ‘웃모래’ ‘웃갱변’이라 불리었다 한다. 현재의 남지리 서동이 ‘모래에’라 불린 것과 마찬가지로 2, 3백년 전에는 이곳도 모래만이 있었던 백사장(沙場), 사막과 같은 들판이었기 때문이었다. 바람이 불면 모래가 강물처럼 밀리면서 눈을 못 뜨게 하였고, 걸음을 걸을 때도 발이 빠져 걷기에 힘들었다. 잡초도 없이 오동나무가 띄엄띄엄 서 있었던 넓은 모래사장의 벌판이었다. 또 낙동강 지류가 북편 산 쪽으로 흘러 강과 강 사이에 끼인 땅으로 마치 서울 여의도처럼 되기도 했다한다.

그때 인가는 용산리 거룬강 나리(창날)로 가는 길목에 주막집이 하나 있었고, 또 동호나리로 가는 길목엔 주막집이 있는 주막거리이기도 하였다 한다. 50여 년 전에는 약 10여 호가 살았으나 홍수 때면 섬이 되어 배를 타고 피신을 하기도 하였다. 또 농작물은 호밀과 땅콩밖에 되지 않아 농민들은 봄이면 보리 고개보다 더한 모래고개를 넘기기도 하였다고 한다.

현재는 100여 호가 사는 비닐하우스 재배단지로 소득이 높은 최우수 마을이 되었다.

 

 

◎ 잿골[鴻汀]

홍정 본동은 들 복판에 있는 들 마을로 남지리 대신동 후면(북쪽) 솔밭에 인가가 생기면서 웃모래, 웃갱변이라 불리다가 기와를 굽는 기와굴이 생기자 잿골이라 불리었다.

잿골의「재」는 기와의 이곳 토박이말이다.

 

 

◎ 아랫동[下洞]

바깥동 중에서도 마을 아래 남지쪽인데 홍정 마을 남쪽에 있는 뜸을 아랫동네라 부른다. 16호가 살고 있다.

 

◎ 큰골[德洞]

홍정 마을 북쪽으로 신전리로 넘어 가는 고개까지의 골짜기가 크고 넓으므로 큰골이라 한다. 한자로는 덕동(德洞)으로 기사(記寫)하였다.

송재산정(松齋山亭 : 해주오씨 봉선소)이 있다.

 

 

 

◆ 주막걸

홍정 마을 옆으로 주막이 있었던 거리이다. 이 길은 용산리로 가는 신작로가 생기기전에는 남지에서 이리로 하여 옥산 옆을 지나 용산, 의령으로 가는 옛 길이 있었다.

 

 

◆ 장터걸

동쪽의 들판을 장터걸이라 부르는데 예전에 장이 섰던 적이 있다고 한다.

 

 

 

◆ 도흥나리(道興津)

김정호의 『대동여지도』와『축산군지』에 도흥진(道興津 : 在治西二十五里岐音江下流」라 기록되는 옛지명으로 바로 홍정 남쪽으로 강을 건너가면 함안군 대산면 부목리 도흥마을이다. 속칭 동호나리라고도 불린다. 이 나루터는 마산, 함안에서 서울로 가는 대로로 북으로 홍정, 큰골의 떡고개를 넘어 성사, 장마면 산지와 창녕읍 석현(돌고개)으로 가는 옛길이었다. 또 현재 남지여중 서편에 장터껄이란 지명이 있으니 이곳이 옛 도흥진의 나루터로 보인다.

이 도흥나루터 강변일대는 용화산, 청송 등 절벽과 강의 경치가 좋아 가을이면 놀이객이 많이 모여드는데 왜정 때인 70여년전(1942년) 8월 추석 다음날, 인근 마을의 처녀들이 강 건너 청송으로 놀이를 왔다가 돌아가는 길에 나룻배가 침몰하여 26명이 한꺼번에 죽는 참사가 있었다.

지금은 나루를 건너려는 사람이 없어 나루터는 비어 있다.

 

 

◆ 떡고개[德峴]

큰골에 있는 고개로 북쪽으로 신전리로 넘어가는 고개이다.

이 고개 옆에 남지공동묘지가 있는 관계로 사람이 죽어 갖다내버리면서 덧(섶의 이곳말)만 덮어 두었다고 하여 덧고개라 하였다는 말이 있다. 또 배가 고픈 사람에게 떡을 주었다 하여 떡고개라 불리었다고 하기도 하나 큰골이 덕곡(德谷)으로 기사되었으니 언덕의 「덕」(德)이 떡으로 된발음되었다고 본다.

고개가 동서로 두개가 있어 서편고개를 웃 떡고개라 하고 동편 공동묘지 옆을 지나는 고개를 아래 떡고개라 부르는데 이곳이 최근 넓게 확장되었으며 신전리 아이들의 통학로이기도 하였다.

 

 

◆ 남지공동산(共同山)

남지의 공동묘지를 말하는데 홍정 큰골 옆 떡고개에 있다. 예전에 남포동 남쪽에 남지리의 공동묘지가 있었는데 개간되면서 이곳 산을 구입하여 남지리의 공동묘지로 사용하게 되었다.

 

 

 

명지(안동) 마을 전경

 

 

 

◉ 3-3 명지(明旨)

 

 

홍정 서쪽이며 학계의 남쪽 편에 있는 마을로 전에는 날물이라 불리던 마을의 행정리 명칭이다. 자연마을로는 내동, 외동 등이 있다.

밝은 마을이란 뜻으로 명지라 하였다. 「旨」는 마을, 말에 흔히 사용된 차자이다.

과거에는 124호였으며, 순흥 안씨가 처음 살았다고 하는데 지금은 팔계 정씨가 많다.

 

 

◎ 날물[日村]

명지 본동의 옛 이름으로 동리 뒷산이 해처럼 둥글게 생겨 해[日] 마을이란 뜻이라 한다.

그러나 날물의「날」은 나루, 나리[津]의 축약이며「물」은 옛말 ‘’로 마을, 말[洞]의 변형이라 하겠으므로 곧 나루가 있었던 마을, 나리마을이라 할 것이다. 따라서 나루의 축약인 ‘날’을 ‘날 일(日)’로 ‘마을, 말, 물’로 변한 뒷자를 ‘마을 촌(村)’자로 한자화한 것이다. 예전에 낙동강이 이 안동 마을 앞으로 흘렀다하므로 이곳이 나루터였을 것이니 ‘나루터 마을’ 곧 날물이라 불렀던 것이다.

따라서 날물을 한자로 표기하면서 처음에는 날 일(日) 마을 촌(村)을 써 ‘日村’으로 하다가 후대에 와서 한자의 뜻이 좋은 자로 바꾸어 명지(明旨)로 한 것이다.

 

 

◎ 안동[內洞]

명지 마을의 본동으로 북쪽 산등에 의지하여 마을이 있어 남쪽 들 가운데에 형성된 마을에 비하여 안쪽 마을이므로 안동, 내동이라 한다.

57호가 살며, 영모재(永慕齋 : 八溪鄭氏 奉先所)가 있다.

 

 

◎ 바깥동[外洞]

남지에서 용산으로 이어지는 지방도가 개설된 이후 길가에 인가가 형성되었는데 이곳이 명지 본동에 비하여 바깥쪽에 있으므로 바깥동, 외동이라 한다.

들 가운데 형성된 마을로 42호가 살며, 비닐하우스 재배농가들이 많다.

 

 

 

◆ 솔밭들[松旨坪]

명지마을 앞 학계리 일대의 강가에 있는 들이 예전에는 소나무가 가득한 들이었으므로 솔밭들이라 불리었다. 1920년대에 개간되어 왜밀(호밀)과 왜콩(땅콩), 수박 등을 심게 되면서 지금은 비닐하우스 물결이 일렁이는 옥토가 되었다.

솔밭들이므로 한자로 쓰면서 송지평(松旨坪)으로 되었다.

지금은 이 들판이 낙동강연안개발사업으로 모두 하천부지가 되었다.

 

옥산 마을 전경

 

 

 

◉ 3-4 옥산(玉山)

 

 

학계리의 서쪽 끝에 있는 주러리라 불리는 마을 일대의 행정 리 명칭이다.

지명에 ‘구슬「玉」’이 들어간 곳은 대체적으로 부근의 산이나 지형이 여자의 몸처럼 둥글고 부드러운 곡선이 있었기 때문이다. 이 마을도 뒷산이 둥글어서 달과 같다고 하니 이에서 옥산이 나왔으며, 「山」은 꼭 높은 산을 지칭하기보다는 마을, 고을을 뒷받침하는 어미이다.

마을 남쪽 들판으로 나가는 지방도에 주막이 있었는데 점점 인가가 늘어 지금은 작은 마을을 이루었다. 마을 남동쪽 명지 마을과의 사이에 학계농공단지가 조성되었다.

 

 

◎ 주러리[月村]

주월(周月)이 주러리로 변하였다고 하는데 마을의 뒷산이 옥과 같이 둥글어서 달과 같으므로 둥근 달이라는 뜻의 주월(周月)이라 한 것이다.

이것이 뒤에 달마을이라 하여 달마을, 월촌(月村)으로 기사하여 쓰이다가 행정 리 명칭을 정할 때 옥산이라 한 것이다. ‘달’[月]은 고어 ‘’로 산, 산골, 또는 들을 말한다.

학남서당의 터에 세워진 도남재(道南齋 : 김해김씨 봉선소)가 있다.

 

 

◎ 새동네

옥산 앞에 있는 새로 이루어진 마을로 남지 - 용산간 도로가 개설되고 나서 주막집이 생기고서 점점 인가가 생기고 과수원 등이 조성되면서 마을이 형성되었다. 최근 이곳 동쪽에 농공단지가 조성되어 크게 발전하고 있다.

 

 

◎ 학계농공단지(鶴桂農工團地)

명지와 옥산 사이에 1980년대 말에 조성된 농공 단지로 전에는 복숭아 과수원이 있었던 곳이다. 지금은 여러 개의 공장이 입주하여 가동되고 있다.

 

 

◆ 구비미

옥산의 옆에 산으로 산 구비가 돌아드는 뫼(산)이란 뜻이다. 즉 구비를 돌아가면 있는 산이기도 하다. 굿배미라고도 하는데 날씨가 흐리거나 비가 오는 날씨이면 굿뱀이 우는 소리가 났다고 한다. 마치 멀리서 들려오는 뱃고동 소리 같았다.

 

 

◆ 장군새미

옥산 앞에 있었던 샘으로 이곳의 물을 마시면 힘이 센 장사가 된하하여 장군새미로 불리었다. 그런데 장군새미 물을 마시고 힘이 세진 마을 장정들이 지나가는 행인을 괴롭히는 일이 자주 일어나 결국 메워버리고 말았다 한다.

 

 

 

 

<다음은 남지읍 용산리 지명유래를 올립니다.>